리모컨 하나로 PC·노트북 컨트롤이 자유자재
MS·삼성 등 미디어센터PC 겨냥한 제품 개발
엔터테인먼트 기능에 중심을 둔 디지털컨버전스가 PC시장에서도 급부상하고 있다.이른바 가정용 오디오ㆍ비디오 기능과 고성능 컴퓨터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미디어센터 PC가 가전제품 영역까지 확대되고 있는 것.
이에 따라 방에서 혼자 사용하던 개인용 컴퓨터가 온가족이 거실에서 함께 즐기는 종합 엔터테인먼트 기기로 탈바꿈하고 있다.
PC
케이스 디자인도 일반 가전제품과 잘 어울리도록 고급화되는 등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손색이 없다.최근 마이크로소프트사가 발표한 윈도
미디어 센터 2005는 단순히 PC와 가전기기의 결합에서 벗어나 편안히 소파에 앉아 리모컨 하나로 PC의 모든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운영체제다.
현재 이를 적용한 완제품 PC들이 대거 출시돼, 삼성·LG·삼보 등 메이저 PC 업체들이 디지털 컨버전스형 PC 시장을 이끌고 있다.
최
근 삼성전자는 기존 미디어센터 PC에 웰빙 기능을 추가한 ‘매직스테이션MX40’을 출시했다. 삼성전자 ‘매직스테이션 MX40’은
웰빙 시대를 맞이해 은나노 코팅을 업계 최초로 PC에 적용한 제품으로 항균·살균·탈취 기능을 부여했다.
또
전자제품들의 소형화 추세에 맞춘 미니컴포넌트 스타일의 디자인으로 AV기기로서의 기능을 대폭 강화했다. 크기가 작아 공간 절약
효과는 물론, 제품 앞면에 AV용 디스플레이를 적용해 심미성을 배가하고, 금속 질감의 다이얼 및 기능선택 버튼 등을 배치해
사용자 편의까지 고려했다.
또한 윈도 부팅 없이 TV·음악·DVD·FM라디오 등의 기능을 즐길 수 있는 멀티미디어 ‘인스턴트 온’으로 TV나 오디오 없이 ‘매직스테이션 MX40’ 하나만으로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생활을 가능케 했다.
윈도 상태에서는 ‘AV 스테이션 프리미엄’을 제공해 TV를 실시간으로 재생·녹화할 수 있고, 음악·사진·영화 등을 편집·저장·관리할 수 있다.
특히 삼성전자가 독자 기술로 개발한 TV와 홈씨어터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DNIe, DNSe가 적용돼 더욱 생생한 화질과 음질을 구현한다.
그러나 기존 고성능 PC를 가지고 있다면 디지털컨버전스를 위해 PC를 다시 구입하기는 부담스럽다.
이런 소비자들을 위해 이번 지면을 통해 기존 PC를 미디어센터 PC로 탈바꿈 시킬 수 있는 방법과 저사양 PC를 업그레이드 할 소비자들에게 저렴하게 미디어센터를 꾸밀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간단한 설치만으로 기존 고성능 PC를 미디어센터로 탈바꿈 시켜주는 리모컨 제품에 대해 알아보자.현재 리모컨 제품들은 3만∼9만원대 가격이 형성돼 있으며 유통시장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다.
리모컨 제품은 가장 핵심인 리모컨을 비롯해 수신부, 각종 멀티미디어를 구동하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돼 있다.
이들 제품은 일반 윈도 XP에서 DVD, MP3, TV, 라디오는 물론 PC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노트북도 이동형 미디어센터 PC로 탈바꿈시킬 수 있다.
컴퓨터 사용자들에게 가장 인기를 얻고 있는 사운드그래프사의 imon Knob와 imon VFD와 MS의 미디어센터 전용 리모콘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자.
imon Knob
imon Knob는 리모컨과 수신부, 멀티미디어 통합 프로그램인 멀티미디언, 리모컨 관련 설정을 할 수 있는 iMon 매니저 등 크게 네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iMon Knob 전용 리모컨은 적외선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각종 멀티미디어 제어와 함께 마우스 기능도 겸하고 있다. iMon의 리모컨은 약 15m의 거리를 지원한다.
리모컨에서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PC에 전달하는 수신부를 중심으로 전후좌우 약45도 내에서 신호가 처리된다. 또 수신부는 USB 방식으로 데스크톱 PC뿐만 아니라 노트북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iMon
Knob의 가장 핵심인 멀티미디언은 윈도 XP 미디어센터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로서, MP3, 사진보기, DVD·동영상
플레이어, TV 시청 SW+영상 녹화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다목적 소프트웨어다. 멀티미디언이 콘텐츠를 재생하는 소프트웨어라고
하면 iMon 매니저는 마우스나 키보드 드라이버와 같은 구동 소프트웨어라고 할 수 있다.
iMon 매니저에는 기본적인 세팅 기능 외 리모컨으로 PC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각종 애플리케션이 함께 제공된다.
iMon VFD
iMon VFD 패키지는 iMon Knob와 동일하게 멀티미디언과 imon 매니저가 함께 포함돼 있으며, 수신부만 다르다.
iMon
Knob은 USB 방식이며, iMon VFD는 컴퓨터의 5.25인치 베이에 장착하는 방식으로 VFD 모듈을 PC 케이스 내부에
직접 설치한다. 이런 이유로 5.25인치 커버가 있는 슬림 케이스에는 장착할 수 없으며, 데스크톱용 케이스에 적당하다.
또 PC를 리모컨으로 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체 타이머 기능에 의해서 정해진 시간에 PC를 자동으로 켜지고 꺼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일정관리 기능을 사용해 PC가 켜진 뒤에 자동으로 멀티미디언을 이용해 노래를 감상하거나 TV를 녹화하는 것 등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IR 수신부에 스탠바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ATX 스탠바이 전원 어댑터를 장착했다.
MS, 미디어센터 전용 리모컨
MS
의 미디어센터는 온가족이 손쉽게 다룰 수 있도록 키보드나 마우스보다 리모컨으로 갖가지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그동안
리모컨이 따로 공급되지 않아 자체 개발이 어려운 조립 PC 업체의 경우 어려움이 많았던 게 사실이다.
미디어센터 PC용 리모컨은 전원 외에 PC 전환 버튼을 추가했으며 어두운 곳에서도 다룰 수 있도록 역광 조명을 지원한다. 수신기 반경 6m내에서 사용 가능하며, 수신기는 USB 포트에 끼우면 곧바로 작동한다.
미
디어센터 PC용 리모컨의 가장 큰 장점은 바로 한글 입력. 한글 입력을 통한 인터넷 검색과 웹사이트 이동, 이메일 쓰기 등이
가능하다. 또 한글 변환이나 설정 전환을 위해 버튼을 2번씩 눌러야 하는 토글 이 필요없어 사용이 간편하다.
베어본PC, AOpen XC Cube
AOpen
XC Cube AV는 베어본과 MS의 미디어센터를 결합한 제품이라고 보면 될 것이다.이름 그대로 AV기능을 베어본에 탑재한
제품으로서 미니오디오에서나 볼 수 있는 다양한 버튼을 갖고 있으며, 전면 베젤에 LCD 창이 있어 PC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 제품은 기본적으로 TV수신카드와 홈씨어터 구축을 위해 5.1채널을 지원한다. 특히 아날로그 출력은 물론 디지털 출력이 가능해 박진감 넘치는 영화를 즐길 수 있다.
이 제품의 가장 큰 특징은 완제품 미디어센터 PC와 동일하게 부팅 없이 MP3, 라디오, TV시청, 동영상 감상이 가능하며 PC의 전원 온·오픈도 가능한 것이다.
CPU 타입은 소켓 478(인텔 펜티엄 4 하이퍼스레딩지원, 3.4GHz, 노스우드 & 프레스캇 FSB533/800) 전용 모델이다.
디스플레이, 인디케이터 ‘L.I.S MCE’
윈도 XP 미디어센터 2005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주변기기 하나를 소개한다.브이엘시스템에서 출시한 인디케이터 ‘L.I.S MCE’은 윈도 미디어센터 PC의 각종 동작상황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제품이다.
이
제품은 PC 하드웨어와 운영 상태에 관련한 모든 정보를 LCD 창으로 보여주며 윈도 XP 미디어센터가 동작하면 자동 감지해 TV
채널·DVD·음악·비디오·라디오·CD와 DVD 플레이어 등 PC 상태에 따른 갖가지 정보를 사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해준다. 또
실시간으로 시간·날씨 정보·네트워크 전송 속도·약속 알람·메일 체크 등 부가기능까지 제공한다.
OS, 윈도 미디어센터 2005
윈
도 미디어센터 에디션 2005는 가정용 PC에서 쉽고 완벽하게 연결되는 방식으로 홈 엔터테인먼트를 즐기고 개인 업무를 가장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운영체제다. 윈도 미디어센터 에디션 2005를 사용하면 사진, 음악, 홈 비디오 및 녹화된 TV 프로그램
등을 편리한 장소에서 한 번에 쉽게 저장하고 공유하며 즐길 수 있다.
윈도 미디어센터 에디션 2005가 설치된
컴퓨터를 미디어센터 PC라고 한다. 홈 엔터테인먼트를 위한 완벽한 윈도 XP 기반 PC인 미디어센터 PC는 가정용 컴퓨터가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기능이 한 곳에 모아져 하나의 리모컨으로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해주는 디지털 미디어 허브로 진화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위한 새로운 미디어센터 PC에는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가 포함된다.
·미디어센터 호환 리모컨
언제 어디서나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키보드와 마우스의 부족한 점을 보완해준다.
1. 우분투 시디로 부팅 2. 제일 위의 start or install... 로 가면 그래픽환경으로 터미널을 실행할 수 있다.
3. 터미널을 실행한뒤 sudo -i 로 관리자권한을 얻는다. 4. mkdir /mnt/linux -- 디렉토리를 만든다. 5. mount /dev/hda? /mnt/linux -- 위에서 만든 디렉토리로 리눅스가 설치된 파티션을 마운트 하는 것이다. 여기서 ?는 파티션번호인데 이것을 알기 위해서 "시스템 - 관리 - 디스크 - 파티션맵 " 에서 알 수 있다는데 난 파티션맵이라는건 없었다.
그 비슷한걸 실행해서 알아냈다.
나의 c 드라이브는 윈도우 sda1이었고 d 드라이브는 sda2(sda5 의 리눅스와 스왑디렉토리 sda6) 이었다. 여기서 sda2라고 주는것이 아니라 리눅스가 설치된 sda5를 주는 것이다.
첨엔 sda2로 줬었는데 에러가 나길래 그냥 sda5로 주었더니 진행되더라..
스왑파일은 우분투를 설치할때 약1기가정도 준 공간이고 우분투를 설치한 사람은 알고 있을 것이다. e 드라이브는 sda3 이었다..
6. grub 이라고 명령을 준다. 그러면 grub> 이라는 프롬프트가 뜬다.
7. grub>find /boot/grub/stage1 이라고 하면 (hd0,4) 이런식으로 뜬다. 파티션 설정에 따라서 다를수 있다. 이건 대충 첫번째 하드디스크의 네번째 파티션이라는 뜻이란다. 왜 네번째일까?? 글쎄.. 아무튼 이렇게 자신의 파티션 번호를 알아내야 한다.
댓글